어제 지상파DMB 사업자가 결정됨으로 앞으로 펼쳐질 새로운 세상에 대한 기대가 드높아진것같습니다..
이에 DMB가 무엇인지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알아두시면 삶의 상식이 될것입니다..
DMB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의 약자로서... 위성과 지상파로 나뉘어... 지상파는 무료로 제공될 예정입니다....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은...
전용 단말기나 수신기능을 갖춘 개인 휴대전화, PDA 등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고화질 방송,
CD 수준의 음악 등 다채널 방송을 즐길수 있는 서비스다. 상용화 되면 이동 중에도 드라마나
스포츠 중계•영화 등을 볼 수 있다.
DMB는 지상파와 위성파로 나뉜다.
위성DMB는 위성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고, 지상파DMB의 경우 방송국이 지상중계기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게 차이점이다.
전송방식에 따라 시청가능 지역도 차이가 난다.
지상파DMB는 실내나 지하철에서는 이동통신사 중계기를 통해 시청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나
중계기 증설로 유료가될지 무료가 아직 미결정 상태입니다.
반면 이동형 서비스를 주목적으로 개발된 위성DMB는 시속 100㎞이상의 속도에서도
깨끗한 화면을 보여주며, 실내나 지하철의 수신 불가능 문제도 중계기 설치로 극복할 계획이다. 단 지상파DMB에 비해 유료라는 단점이 있다.
이번에 6개 사업자가 선정된 지상파 DMB는 비디오 채널 17개와 오디오 채널 13개, 데이터 채널 8개 등
총 38개 채널로 운영될 예정이며 SK텔레콤이 대주주로 있는 TU미디어가 추진하고 있는
위성DMB는 비디오 채널 11개, 오디오 채널 25개, 데이터 채널 3개 등 총 39개 채널로 운영될
예정이나 채널 운영이 쉽지는 않아 보인다...
사용요금에도 차이가 있다.
지상파 DMB는 사용요금이 부과되지 않는 반면, 위성파DMB 이용에는 2만원 선의 가입비와
월 1만2000~1만5000원 정도의 정액사용료가 부과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