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PS리그 기록규정
글쓴이 : 사무국장   조회(3439)   등록일 : 2017-01-20 오전 11:27:00

2018년 일요리그 기록규정 및 시상


1. 승리투수
(1) 선발투수는 규정이닝 4이닝을 투구해야한다. 선발투수는 3회 연속투구일때는 (1회2회3회) 승리요건 투구이닝을 인정한다.선발투수가 한타자 1회라도 쉬는 연속투구가 아닐때는 반드시 4이닝을 투구해야 승리요건 투구이닝으로 인정한다.
선발로 나와 연속 투구를 하지 않아도 선발투수가 4이닝의 경우 12명의 아웃 3이닝의경우 9명의 아웃카운트를 잡고 승리요건이 된다면 승리투수가 된다.즉, 선발투수가 연속투구가 아니라도 선발로 나와서 4이닝을 투구하면 요건이 된다는 것이다.

(2). 선발투수의 규정이닝이 안될때 제2. 제3의 투수중에 승리투수 를 준다.
이는 공식규정에도 적용된는 규정으로 본규정에는 효과적인 투구를 한 투수 에게 승리가 주언진다. 우리연맹에서도 기록원과 사무국장이 판단하여 투구이닝. 실점. 사사구. 피안타등을 고려해서 효과적인투구를 한 투수에게 승리투수를 준다.
(3) 다승투수의 시상은 동율일때는 투구이닝의 많음으로 결정한다.

2. 세이브

(1) 점수차와 관계없이 3회연속투구(마지막회포함) 즉 9명의 아웃카운트를 연속 잡고 경기를 마무리한투수에게 승이 없을때 세이브를 기록하며 세이브점수는 구원포인트 3점을 준다.
즉, 선발투수가 3이닝을 던지고, 승의 요건을 가지고 다음투수가 마지막 이닝을 포함한 연속3이닝, 5.6.7회나, 6회종료경기 4.5.6회를 던졌을 경우 선발투수에게는 승을 주고 다음 투수 에게는 세이브를 기록한다.

(2) 마지막회 아웃카운트와 관계없이 마운드에 올랐을때 3점이내 일때 승을 지켰을 경우 팀의 추가득점과 관계없이 3실점을 했다면 세이브 기록을 주지 않는다.
6.7회 혹은 5.6회를 투구했을경우 등판시점이 5점차일경우 팀의 승을 지키면 세이브 기록을 주지만, 팀의 추가 득점과 관계없이 5실점을 했을 경우 세이브 기록을 주지 않는다.

(3) 위의 두조건이 아닐때는 투구이닝. 아웃카운트수. 점수차등을 고려해서 기록원과 기록총무가 판단하여 세이브를 준다.
그외, 등판후 역전이 안된 상태까지 실점을 하고 다시 팀에서 득점을 해서 승을 지키는등의 복잡한 상황들은 기록원과 기록총무와 상의하여 세이브 기록을 최종 확정한다.

(부) 세이브의 요건이 공식규정을 그대로 적용하는것에는 다소 무리가 가 있다. 또한 그러한 공식규정을그대로 적용할수 있는 우리연맹의 상황이 아니며 점수차가 10점이상과 2점리드에서 공방전끝에 다시 9점의 차이등 정식규정을 적용하여 세이브를 결정하기에 무척이나 어려운상황들이 많다. 정식규정들을 바탕으로 해서 큰 범위내에서 세이브 기록을 주는 것으로한다.

(부) 세이브의 요건에 이의가 들어오면 기록원 기록총무 총무단의 협의하에 세이브를 기록할수 있도록 한다.

3. 홀드

(1) 등판한 투수가 승,패,세이브가 기록되지 않을때 그선수에게 홀드를 준다. 무승부일때는 양팀의 모든 투수가 홀드가 되며 구원포인트는 1점이 된다.

(2) 구원포인트 홀드 1점 세이브는 3점으로 계산한다.

4. 자책점과 방어율

1) 방어율은 투수의 자책점만으로 계산을 하는게 공식기록이다.
하지만 자책점에도 자책, 반자책등 여러가지의 자책점이 있으며 자책점을 구분하는데는 사회인야구에서 많은 문제를 않고 있다. 특히 사회인야구처럼 실책에 의한 점수가 많고, 또 한경기에 최소15점이상이 득점되는 상황에서 정확히 자책점을 구분한다는 사회인야구의 시스템과 현 기록요원으로는 불가능한 일이다.
실점을 자책점화 해서 팀의 실점을 방어율로 계산을 한다. 투수의 방어율역시 실책과 관계없이 자신의 투수로 등판한 그 타자의 득점부터 실점으로 적용을 한다.

(예) 4회 5번타자때 등판했다면 4번타자까지의 득점은 앞의 투수에게 실점을 주고 5번타자이후의 득점은 바뀐투수에게 실점을 준다. 콜드게임등과 관계없이 무조건 7회를 기준으로 방어율을 계산한다. 팀 방어율역시 팀 전체실점 나누기 경기수로 팀 방어율을 계산한다. 즉 한경기실점을 의미한다. 개인상의 경우 동율일경우 투구이닝의 많음으로 결정한다.

5. 포볼과 데드볼 타격방해

(1) 포볼, 데드볼, 타격방해 3가지 기록은 모두 하나로 합해서 포볼로 기록한다.
포볼, 데드볼, 타격방해를 모두 출루로 인정하며, 포볼란 기록된다.

6. 출루율

(1) 정확한 출루율의 공식은 희생타와 희생번트등을 구분해서 한다.
하지만 우리연맹에선 이해가 쉽게 출루 나누기 타석으로 한다.
출루란 , 포볼, 데드볼, 타격방해, 안타 4가지만을 출루로 인정한다.
출루율 = 출루(포볼+데드볼+타격방해+안타) / 타석

(2) 출루율의 개인타이틀은 없다.

7. 규정타석

(1) 2002년 부터 공식화된 홈페이지에서 팀의 경기수와 각리그별의 평균경기수를 합하여한리그의 경기가 많을때와 적을때 규정타석의 증가를 달리하여 리그 경기와 비례하여 규정타석이 증가한다. 이는 14경기 기준일경우 35타석이 규정타석이 되며 게임당 2.5타석이된다.
부). 몰수승에대한 규정타석은 인정하지 않는다.

(2) 개인기록의 확인에서 규정타석 이상의 선수만 개인기록을 확인할수 있다.

(3) 규정타석은 선수출신 비선수 구분없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 2부 32팀이면 32팀이 이번주 까지 치룬 경기수곱하기 2를하고 나누기 32를 해서 규정타석으로 적용한다.

**********************************************************************************
PSBA 개인기록 시상 규정
***********************************************************************************

개인기록상 - 타자

◆ 매직리그 (비선수, 선수출신 시상제외)

타격1위 -----------동율(타수-타석)
최다안타1위 -------동율(타석-타수)
홈런1위 -----------동율(타수-타석)
타점1위 ------------동율(타수-타석)
 
◆ 드림리그 (비선수, 선수출신 시상제외)

타격1위 -----------동율(타수-타석)
최다안타1위 --------동율(타수-타석)
홈런1위 -----------동율(타수-타석)
타점1위 ------------동율(타수-타석)


개인기록상 - 투수

◆ 매직리그 (비선수, 선수출신 시상제외)

다승1위, (동율일때는 투구이닝의 많음으로 결정한다.)
탈삼진1위 (동율일때 투구이닝의 적음)
방어율1위 (규정투구이닝 이상이되어야 한다. 규정이닝은 홈페이지 투수성적에 자동계산되어 리그를 마쳤을때 최종 규정이닝을 기준으로 한다.) *동율일때 투구이닝의 많음

◆ 드림리그

◆ 다승1위 (동율일때는 투구이닝의 많음으로 결정한다.)
◆ 탈삼진1위 (동율일때 투구이닝의 적음)
◆ 방어율1위,
(규정투구이닝 이상이되어야 한다. 규정이닝은 홈페이지 투수성적에 자동계산되어
리그를 마쳤을때 최종 규정이닝을 기준으로 한다.) *동율일때 투구이닝의 많음


결승전 우승 준우승팀 개인상 ************************************************
우승 - 매직리그 ( ) 드림리그 ( )
준우승 - 매직리그 ( ) 드림리그 ( )
 
최우수선수상 - 매직리그 ( ) 드림리그 ( )
우수투수상 - 매직리그 ( ) 드림리그 ( )
수훈상 - 매직리그 ( ) 드림리그 ( )
감독상 - 매직리그 ( ) 드림리그 ( )
 
우수선수상 -매직리그 ( ) 드림리그 ( )
감투상 - 매직리그 ( ) 드림리그 ( )


[이전글] 2019년 PS리그 공통규정
[다음글] 2018 PS리그 공통규정
 
글쓴이 제목 날짜 조회수
사무국장 2018 PS리그 기록규정 2017-01-20 3439